목차
1. 목표와 죽음도 까먹는 망각의 동물
2. 무의식의 중요성
3. 매일매일의 힘
1. 목표와 죽음의 까먹음
우리 인간은 정말 놀랍게도 잘 까먹는다
자신이 목표했던 바도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을 땐 금방 까먹어 버린다
그때는 자동적으로 무의식에서 나오는 행동들을 기반으로 하여 한 가지에 몰입한다.
이렇게 매일매일 정신없이 살다보면 자신의 목표가 머릿속에서 사라지고 그냥 살아지니까 사는 경우도 있다.
우리 인간은 죽음 앞에서 삶의 우선순위와 시간의 중요성을 체감하곤 한다.
만약 내가 오늘이 죽는 날이라면 '이걸 안 해서 너무 후회될 것 같은데?' 라거나 만약 지금 죽게 된다면 '과거에 왜 그렇게 의미없이 허송세월을 보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이런 죽음에 대한 사고실험으로 나 인생의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최대한 양질의 삶을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이 죽을 수 있다는 사실도 까먹게 된다. 망각의 동물이다 정말.
2. 무의식의 중요성
그래서 우리는 인생의 중요한 포인트들을 무의식에 새겨놓아야한다.
나의 목표는 이것이고, 나는 언제든 죽을 수 있으니 오늘의 삶도 우선순위에 맞게 시간을 잘 분배해가며 살아가고, 항상 지금의 상태에 감사하자. 나는 매일매일 모든 면에서 나아지고 있다.
이런 무의식이 생긴다면 우리는 한 가지 일에 몰입할 때도 이런 생각들을 무의식적으로 떠올리면서 이를 기반으로 몰입한다.
그러므로 무의식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매일매일의 힘
무의식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의식을 어떻게 바꿀까?
사람이 생각하는데 있어 의식과 무의식의 비율을 나눠보자면 1:9이다.
무의식은 어마어마하게 큰 비율을 차지하고 반대로 의식은 어마어마하게 미미하다
그렇지만 매일매일 의식을 통해 무의식을 바꿔준다면 우리 무의식은 점점 바뀔 것이다.
의식으로 90퍼센트의 무의식을 1%씩 바꾼다고 하면 90번이면 되고
90퍼센트의 무의식을 0.1%씩 바꾼다고 하면 900번이면 된다.
90퍼센트의 무의식을 0.01%씩 바꾼다고 하면 9000번이 필요하다.
근데 중요한 점은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이고
바뀌는 속도도 우리의 의지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는 매일매일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생각하며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이라 무의식에 새기고
항상 죽음을 생각하며 매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즐기면 된다.
이게 높은 수치의 행복보다 더 좋은 것이다.
자신이 행복 수준을 선택하며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삶을 선택하는 것